원본 유튜브 링크(시장을 읽는 남자)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o0ezwESeWjY |
BPS (주당순자산가치), PBR (주가순자산비율) | |
순자산 1000억원(1000,0000,0000) 기업이 1억주(1,000,000)를 발행하면 한 주 가치는 즉 BPS 1,000원 |
|
500원 - 싸군 1,000원 - 적정하군 2,000원 - 비싸군 |
PBR 0.5배 PBR 1 배 PBR 2 배 |
PBR 높은 기업 투자는 잘 못된것인가? | |
넷플릭스, 아마존 등 성장주 현재 PBR 20이상!! |
PBR의 한계 -1 |
주가 실적은 빠르게 변하지만 자산(빌딩,땅,공장,특허,기술 등)은 느리게 성장 |
"성장주 가치를 평가하기에는 부족~!!" |
PBR의 한계 -2 |
기본적으로 인프라, 설비, 공장, 부지 많이 필요한 "장치 산업"은 자산 규모가 크고 많다. |
즉, PBR 1배 미만이 다수!! 저평가가 아닐 수도 있다!! |
바람직한 PBR 비교 |
오랜기간 싸도 너무 싸게 평가된 것은 아닐까? 혹은 동종 업계 PBR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을 때 활용~!! |
PER (주가수익비율) |
주가에 비해 수익을 얼마나 내는가 주가 낮은데 많이 벌면 - 저평가 주가 높은데 적게 벌면 - 고평가 |
PER 해석 | |
시가총액 1000억원 기업 | |
매년 100억원 이익을 내면 | 10년 버티면 '원금회수+회사보유' PER 10배 |
매년 50억원 이익을 내면 | 20년 버티면 '원금회수+회사보유' PER 20배 |
"몇 년 들고 있어야 원금 회수할 수 있는가" PER 40 : 40년 보유해야 원금 회수 가능 PER이 너무 높으면 투자하기 부담스럽다!! |
PER의 한계 |
시총 1000억원 기업, 연이익 1억원 : 현재 PER 1000배 |
만약, 신약/신작게임/신기술 등장으로 내년부터 1000억원 이익을 낼 것으로 기대되면 : PER 1배로 뚝 떨어짐. |
함께 생각할 EPS (주당순이익) |
연수익 100억원, 총 주식수 1억주 -> 한 주당 수익 = 100원 |
PER이 짧아지면 점차 좋아지는 것 |
목표주가 산출방법 PER 10 x EPS 2만원 = 20만원 PER 10 x EPS 5천원 = 5만원 |
728x90
'■ Hobby > ㅡMone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적정주가 만능공식 김정환 (0) | 2020.09.29 |
---|